본문 바로가기
  • 나도일상 NADOLIFE
  • 건강하고, 유익한 생활
식물도감

"독당근" 꽃은 흰색이고 흔히 화이트 플루머(white-flowered)라고도 합니다.

by 나도라이프 2024. 5. 26.

독당근(Conium maculatum)은 매우 독성이 강한 식물로 알려져 있습니다. 

이 식물은 주로 유럽 및 지중해 지역에서 발견되며, 북미와 호주에도 서식합니다. 독당근은 기립성이며, 보통 1m에서 2m까지 자라며, 꽃은 흰색이고 흔히 화이트 플루머(white-flowered)라고도 합니다.

독당근은 주로 독성과 위험을 상징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

 

독당근의 주요 독소는 콘리닌(Coniine)이라는 화합물로, 이것은 신경 마비를 일으키는 매우 강력한 독성을 지니고 있습니다. 독당근은 주로 줄기, 잎, 꽃, 씨앗 등 전체 식물에 독소가 함유되어 있습니다. 이 식물을 섭취하면 신경계에 심각한 손상을 일으켜 호흡 마비와 사망에 이르는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.

독당근은 전통적으로 독살에 사용되었으며, 소크라테스의 처형에 사용된 것으로 유명합니다. 그러나 독당근의 독성으로 인해 현재에는 의약품이나 식용으로 사용되지 않고 있습니다. 오히려 이 식물은 주로 약용으로는 사용되지 않지만, 식물학적인 연구나 환경 보호를 위한 연구 등에서 주목받고 있습니다.

독당근은 주변 식물들과 혼동될 수 있으므로, 야외에서 이식물을 발견할 때는 절대 섭취하지 않는 것이 중요합니다. 특히 야생에서 채집한 것을 식용으로 섭취하지 않도록 주의해야 합니다. 만약 독당근을 발견하게 되면 즉시 전문가나 관할 당국에 신고하는 것이 좋습니다.

 

●  독당근은 주로 독성과 위험을 상징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

독당근은 자연에서 독성이 강한 식물로 알려져 있어 꽃말을 가지지 않습니다.

대신에 독성이 있고 위험한 식물이므로, 일반적으로 꽃말을 부여하지 않습니다.

 

● 독당근의 효능

독성이 매우 강력하여 독살에 사용되었던 식물로 유명합니다. 독성이 강한 독소를 함유하고 있어 인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며, 이로 인해 한약재로 사용되거나 식용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. 독당근을 섭취하면 중독 증상이 발생하고, 심할 경우 호흡 마비와 사망에 이를 수 있으므로, 절대로 복용해서는 안됩니다. 따라서 독당근은 약용으로는 사용되지 않고, 주의해야 할 위험한 식물입니다.


독당근(毒當芹, Cicuta virosa)의 자생 지역

독당근은 유독성 식물로, 주로 습지와 물가에서 자라는 특징이 있습니다. 북반구 온대 및 냉대 지역에 분포하며, 한국을 비롯해 아시아, 유럽, 북아메리카 등지에서 자생합니다.


1. 한국에서의 자생 지역

  • 전국의 습지, 연못, 하천변, 늪지대에서 발견됨
  • 강원도, 경기도, 충청도, 전라남북도, 경상남북도 등에 분포
  • 해발 1,000m 이하의 습한 지역에서 잘 자람
  • 특히 강가, 논둑, 저지대 습지에서 쉽게 볼 수 있음

2. 중국에서의 자생 지역

  • 중부 및 북부 지역 중심
  • 헤이룽장성(黑龙江省), 지린성(吉林省), 랴오닝성(辽宁省), 산둥성(山东省) 등
  • 온대 기후 지역의 늪지대 및 습지에서 자생

3. 일본에서의 자생 지역

  • 홋카이도, 혼슈, 시코쿠, 규슈 등 전역에 분포
  • 주로 습기가 많은 논둑, 연못 주변, 하천 근처에서 자람
  • 강수량이 많은 지역에서 더욱 번식력이 강함

4. 유럽 및 북아메리카에서의 자생 지역

  • 유럽 전역: 프랑스, 독일, 영국, 러시아 등지의 습지에서 흔히 발견됨
  • 북아메리카: 캐나다 및 미국 북부 지역(특히 오대호 주변)
  • 냉대 기후 지역에서도 적응력이 뛰어나며, 저온에서도 잘 자라는 특성이 있음

주의사항

독당근은 매우 강한 독성을 가진 식물로, 특히 뿌리에 독성이 집중되어 있습니다. 헷갈리기 쉬운 식물(미나리, 당근, 바랭이 등)과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합니다.

-  주요 독성 성분: 시쿠톡신(Cicutoxin) → 신경계에 영향을 미쳐 경련, 마비, 심하면 사망에 이를 수 있음
-  중독 증상: 구토, 어지러움, 경련, 호흡곤란 등
-  야생에서 발견 시 절대 채취하거나 섭취하지 말 것


 

독당근은 한국뿐만 아니라 아시아, 유럽, 북미 등지의 습지 및 물가에서 광범위하게 자생하는 유독 식물입니다. 특히 미나리나 당근과 비슷하게 생겨서 실수로 채취하는 일이 없도록 주의해야 합니다.